
헌법재판소는 대한민국의 헌법 수호 기관으로, 위헌 법률 심판, 탄핵 심판, 정당 해산 심판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곳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헌법재판소 위치와 주소, 지하철 및 버스 이용 방법, 주차 정보까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정리해 보았습니다.
1. 헌법재판소 위치 및 주소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촌로 15 (재동 83)
📞 대표 전화번호: 02-708-3400
🕘 운영시간: 평일 09:00 ~ 18:00 (주말 및 공휴일 휴무)
헌법재판소는 서울 종로구에 위치하며, 경복궁과 안국역 사이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주변에 북촌 한옥마을, 삼청동 등이 있어 방문 시 함께 둘러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2. 헌법재판소 가는 방법 (대중교통 이용 시)
헌법재판소는 지하철과 버스를 이용하면 쉽게 방문할 수 있습니다.
🚇 지하철 이용 방법
- 3호선 안국역 1번 출구 → 도보 약 10분
- 5호선 광화문역 → 도보 약 20분 (또는 버스 환승)
안국역 1번 출구로 나와 북촌 방향으로 걸어가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 버스 이용 방법
헌법재판소 주변에는 다양한 노선의 버스가 운행됩니다.
📍 가장 가까운 버스 정류장:
- 헌법재판소 정류장 (종로01, 종로02 마을버스)
- 안국역 정류장 (일반·광역·간선버스 이용 가능)
📌 주요 버스 노선
버스 종류 | 버스 번호 | 주요 경유지 |
---|---|---|
간선버스 | 109, 151, 162, 171, 172, 272 | 강남, 강북, 신촌, 동대문 방면 |
지선버스 | 7025 | 은평구, 서대문구 방면 |
마을버스 | 종로01, 종로02 | 인사동, 삼청동, 북촌 일대 운행 |
광역버스 | 6011 | 인천공항, 서울역 방면 |
안국역 정류장에서 하차 후 도보 이동하면 헌법재판소에 도착할 수 있습니다.
3. 자가용 및 주차 안내
헌법재판소 방문 시 자가용 이용은 다소 불편할 수 있으므로 가급적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부득이하게 차량을 이용해야 하는 경우, 주차 정보를 확인해 두는 것이 필요합니다.
🅿 헌법재판소 내 주차장
- 운영시간: 평일 09:00~18:00
- 주차 가능 여부: 내부 주차 공간이 협소하여 방문객 주차는 제한적
- 주차 요금: 공식적으로 공개된 방문객 주차 요금 없음 (내부 직원 및 관계자 위주)
🏢 주변 공영주차장 정보
헌법재판소 내 주차가 어려울 경우, 인근 공영주차장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주차장명 | 주소 | 운영시간 | 주차 요금 |
---|---|---|---|
안국역 공영주차장 | 서울 종로구 율곡로 47 | 24시간 | 기본 5분당 300원 |
삼청동 공영주차장 | 서울 종로구 삼청로 129 | 24시간 | 기본 5분당 300원 |
북촌 한옥마을 공영주차장 | 서울 종로구 계동길 45 | 24시간 | 기본 5분당 300원 |
주차 공간이 제한적이므로, 특히 주말과 공휴일에는 일찍 도착하는 것이 좋습니다.
4. 방문 시 유의사항 및 자주 묻는 질문
헌법재판소 내부 견학이 가능한가요?
네, 가능합니다. 헌법재판소에서는 단체(10인 이상) 사전 예약을 통해 견학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다만, 법정 운영 일정에 따라 견학 일정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
헌법재판소 방문 전에 따로 예약해야 하나요?
일반 방문은 예약이 필요 없지만, 단체 견학이나 특별한 상담이 필요한 경우 사전 예약을 권장합니다.
헌법재판소 주차장 이용은?
주차 공간이 협소하므로 가급적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헌법재판소 방문 팁
헌법재판소는 서울 중심부에 위치해 있어 대중교통으로 방문하기 편리합니다. 지하철 3호선 안국역에서 도보 이동이 가장 쉬운 방법이며, 버스도 다양한 노선이 있어 접근성이 좋습니다.
다만, 주차 공간이 협소하므로 가급적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