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서울시 전기차 보조금 신청 접수가 시작되었습니다. 보조금 지급 대상은 승용차 화물차 어린이 통학차량이 대상입니다.
지원금 최대금액은 승용차는 최대 860만원 까지 화물차는 최대 1600만원 까지 지원 받을 수 있습니다. 대상자 선정 방법과 신청 방법을 확인해보세요
서울시 전기차 보조금 금액은?
보조금은 국비 지원금액과 지방자치단체 지원금액으로 나누어 집니다. 즉 정부에서 지원하는 금액과 지자체 서울시에서 지원하는 금액을 합하면 내가 받을 수 있는 전기차 보조금 금액이 됩니다.
계산방법은 조금 복잡하지만 우리가 알고 싶은 것은 ‘내가 얼마까지 받을 수 있는가?’ 입니다. 아래표에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 서울시 전기차 보조금 (국비 + 지방비)
구 분 | 크기 | 보조금 (국비/지방비) |
전기승용 | 중·대형 | 최대 860만원 (680/180) |
소형 | 최대 733만원 (580/153) | |
초소형 | 정액 472만원 (350/122) | |
전기화물 | 소형 | 최대 1,600만원 (1,200/400) |
경형 | 정액 1,260만원 (900/360) | |
초소형 | 정액 825만원 (550/275) | |
전기승합 | 중형 | 최대 7,000만원 (5,000/2,000) |
최대금액은 승용차는 860만원 화물차는 1600만원 까지 가능합니다. 다만, 차종에 따라서 지원금액이 달라집니다.
차종에 따른 서울시 전기차 구매 보조금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에 가보면 주요 전기차 모델을 모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기아 EV6 니로
- 현대 GV 70 GV80 GV60 아이오닉5
- 테슬라 모델3 모델 Y
- 폭스바겐 벤츠 등
2023 서울시 전기차 보조금 신청 수령 방법
전기차 보조금을 받는 방법은 구매자는 신경쓸 내용이 크게 없습니다. 구매자는 제조사에 차량 원래가격에서 보조금을 뺀 금액을 납부합니다. 그리고 차량 제조사가 서울시에 보조금을 신청하여 수령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즉 구매보조금 지원신청 절차는 자동차 판매사에서 알아서 진행합니다.
절차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서울시에서 보급사업 공고를 합니다.
- 구매자는 제조사와 구매계약을 맺습니다.
- 제조사는 서울시에 전기자동차 구매지원신청서를 접수합니다.
- 서울시에서 구매자와 제조사에 보조금지원대상자 자격을 부여합니다.
- 제조사에서 서울시에 차량출고가 가능함을 통보합니다.
- 서울시에서 제조사에 보조금 지원 대상자 확정 통보를 합니다.
- 제조사에서 구매자에게 차량을 출고하고 등록합니다.
- 제조사에서 서울시에 구매보조금을 신청합니다.
- 서울시에서 제조사에 보조금을 지급합니다.
서울시 전기차 보조금 추가지원 불가 대상
이전에 전기차 보조금을 받은 적이 있다면 보조금을 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재지원기간이 있어 기간내 1대만 신청이 가능합니다.
재지원기간이란 보조금을 지급받고 동일한 차종의 경우 추가지원을 받을 수 없는 기간입니다. 승용차 2년 승합차 2년 화물차 5년입니다.
보조금 지급대상 선정은 차량 출고 등록순으로 결정됩니다. 늦게 구매하시면 보조금을 수령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