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근로장려금 지급액 조회 계산 방법입니다 일인 가구 홑벌이 맞벌이 조건이 조금씩 다르고 근로장려금 지급액이 최대가 되는 구간이 다릅니다.
아래에서 정확한 산출 방법과 수령 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근로장려금 소득조건
간단하게 소득 재산 요건을 확인합니다. 배우자가 있는 경우 배우자의 급여액이 300만원 이상이어야 맞벌이 가구가 됩니다.
1. 소득요건
- 단독가구 2,200만원 미만
- 홑벌이가구 3,200만원 미만, 배우자 총 급여액 300만원 미만
- 맞벌이 가구 3,800만원 미만 , 신청인, 배우자 급여액 각각 300만원 이상
2.재산요건
- 재산합계액이 2억 4천만원 미만
3.신청제외자
- 대한만국 국적을 갖지 못한 경우
- 다른 거주자의 부양자녀인 경우
- 배우자 등이 전문직 사업을 영위하는 경
더 자세한 신청 요건은 국세청 근로장려금 신청자격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근로장려금 지급액 1인단독 홑벌이 맞벌이 계산
근로장려금은 단독가구의 경우 최대 165만원, 홑벌이 가구는 285만원, 맞벌이 가구는 최대 330만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 근로장려금 지급액
구분 | 단독가구 | 홑벌이 가구 | 맞벌이 가구 |
총소득 | 2200만원 미만 | 3200만원 미만 | 3800만원 미만 |
최대 근로장려금 | 165만원 | 285만원 | 330만원 |
소득구간별 근로장려금을 받는 금액을 그래프로 표시하면 아래와 같아집니다 일정 구간까지 수령 금액이 올라가다가 어느 정도 구간에서 다시 내려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위표를 근거로 최대로 지급받는 구간을 표시하면 아래와 같아집니다 소득이 늘어나면 수령하는 근로장려금은 감소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 최대지급구간
구분 | 단독가구 | 홑벌이 가구 | 맞벌이 가구 |
총소득 | 400 – 900만원 | 700 – 1400만원 | 900-1700만원 |
최대 근로장려금 | 165만원 | 285만원 | 330만원 |